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데미안줄거리
- 스픽앱
- 6시그마DMAIC
- 스픽앱후기
- 순간의꽃시집
- 히라가나외우기
-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
- 고은시
- 히라가나공부
- DMAIC
- 6시그마
- 대미안
- 자격증발급비용
- 6시그마자격증후기
- 나는왜내탓을할까독후감
- 순간의꽃고은
- 히스토그램통계
- 6시그마자격증취득
- 고은작은시편
- 데미안소설
- 독후감
- 마음의지혜독후감
- 현대종합금속기업
- 히라가나연상
-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자격증
- 나는왜내탓을할까
- 고은시집
- 히스토그램시간적추이
- 6시그마방법론
- 6시그마Define
- Today
- Total
목록6시그마 (7)
하니‘s Studylog

Define 정의 1.3 CTQ 도출 개요 Step1. 핵심 고객 선정 Step2. VOC 청취 Step3. KCI/CCR 도출 Step4. CTQ 도출 Step 1 : 고객 세분화 *모든 고객이 똑같은 가치를 주는 것은 아님. 고객 Loyalty를 비즈니스 전략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고객을 세분화(segmentation)하는 것이 중요함. *고객 세분화는 VOC 청취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Step 2 : VOC 청취 *고객을 세분화 (고객과 소리를 내는 고객)하고 핵심고객(20:80법칙)에 대하여 요구사항을 파악. *고객 조사는 한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고 2 ~ 3 단계에 걸쳐 정량화 됨. *시간과 돈이 들어가는 부분. *(고객이 원하는 걸 파악해야하기 때문에) 신제품 개발에서는 매우 중요함..
DMAIC - Analyze 3.1 근본원인 도출 정량적 /정성적 근본원인을 검증하고 검증계획 수립. tool : 특성요인도 , 통계적 가설검정(ANOVA 등), 상관,회귀 분석 3.2 핵심근본원인 확정 근본원인의 논리적/기술적 이해하고 핵심근본원인 확정 tool : 파레토 차트 원리 (주로 문제 해결이나 개선을 위한 의사 결정에 활용) 핵심근본원인(Vital Few) 검증 계획 CTQ (Y인자) = 잠재적 근본원인(X인자) X인자 : X 인자 Data 형태에 따라 달라짐. 상관 회귀분석을 통해 결정. (미니탭 프로그램에서 R-Sq 회귀식으로 적합) DMAIC - Imporve 4.1 개선안 선정 실행 가능한 개선 아이디어 도출, 개선안 선정, 개선 아이디어 평가 tool : Brainstorming, ..
6시그마 GB (GREENBELT) 그린벨트 방법론의 의미 방법론 (Methodology) 이란 어떤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이다. 관리방법론 : PDCA(Plan – Do – Check – Action ) 개선방법론 : DMAIC(Define – Measure – Analyze –Improve – Control) 개발방법론 : han-ppiness.tistory.com DMAIC - Define 1.1 비즈니스 개선기회 정의 비즈니스 개선 기회 파악 Team Charter 작성 ->VOC(Voice Of Customer) 1.2 프로세스 문서화 및 분석 프로세스 관점으로 ‘과제를 보는 시각’의 중요성을 이해 정성적 프로세스 분석 기법 이해 (SIPOC, FDPM) 1.3 CTQ 도출 V..
6시그마 사상 - 프로세스란? 1. 프로세스 범위 설정 (예 : 견적프로세스 상담~ 견적서 제출까지) -시작과 끝점 2. 독립적 운영 : 프로세스 선정이나 범위 설정 (예: 구매 프로세스와 생산프로세스는 서로 상이함.) 3. 다양한 경로 : 프로세스내 의사결정 정해서 가지치기 (예 : 대출프로세스 - 1억미만 A타입, 1억이상 B타입) 4. 계층적 구조 mega프로세스, 프로세스chain, process,task, activity(step별 상세 업무 절차) 프로세스 산포 줄이기 Suppliers -> Inputs -> Business Process -> Process Outputs --(Defects)--> Critical Customer Requirement 프로세스 Output의 산포는 불량을 발생..

시그마(Sigma) δ 변동의 지표.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나타냄. 통계적 측정 단위를 표현하는건 그리스 문자. δ 데이터의 변동이나 퍼진 정도를 측정하는데 이용한다. 시그마가 크면 그래프가 많이 퍼진 모양, 시그마가 작으면 뾰족하고 좊은 형태의 그래프 모양을 띈다. 시그마 수준이란? 고객 요구 사항인 규격과 평균 사이에 표준 편차가 몇 개가 들어가는 가이다. 시그마(표준편차)가 크면 시그마 수준이 작다. -> 즉, 결함이 커진 상태. 시그마(표준편차)가 작으면 시그마 수준이 크다. -> 항상 일정한 상태로 고객에게 일정한 서비스 제공. 시그마 수준 비교 2시그마 : 제품이나 서비스 정도가 69.15% 충족 (결함 약 30.85%) 4시그마 : 제품이나 서비스 정도가 99.38%정도 충족 (결함 약 0.6..

6시그마 역사 1987년 모토로라(Motorola) 에서 시작. (마이클 해리) 1996년 GE(General Electric)의 잭 웰치(John F. Welch)가 6시그마를 도입하며 폭넓게 알려짐. 1997년 한국에서 LG전자, 한국중공업에 도입함. -> 전 계열사 확산 -> 부품업계 협력사 확산. 2002년 5월 POSCO - 발전된 모습의 6시그마를 적용하여 프로세스를 계속 계선중. 그 이후에 계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짐. 듀폰트(DuPont)의 6시그마 역사 6시그마는 Dupont의 생산력 향상의 기둥이 됨. 750명의 훈련된 전문가 양성함. 6시그마 과제 성과 예상금액이 연간 1억 5천만 달러. 2000년도 추진과제의 20%가 매출액 신장에 직접적 기여함. 연간 자본비용 예산의 감소 :1998도..

6 시그마란? 품질 관리와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주로 기업이나 조직에서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해 적용되는 방법론입니다. 통계적인 도구와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데에 도움을 둡니다. 주로 DMAIC라고 불리는 프로세스 개선 방법론을 사용하여 문제 인식 -> 문제 분석 -> 개선 방안 도출 -> 실행 -> 통제 등의 단계를 거치며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합니다. '시그마'는 표준 편차를 나타내는 통계학적인 개념으로 6 시그마는 표준 편차의 여섯 배 이내에 변동 범위에서 작업을 수행한다는 의미입니다. 6시그마 자격증 취득 이점? 품질 관리와 프로세스 개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을 나타내는 신롸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이를 통해 조직 내에서 리더십 기회가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