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니‘s Studylog

히스토그램 시간적추이 본문

Six-Sigma GB

히스토그램 시간적추이

❛하니❜ 2024. 1. 8. 14:34
728x90
반응형
  • 분포 :그래프를 통하여 집단특성을 대략적 파악

 

도수(Frequency)분포

* 도수, 상대도수, 누적도수

 

비대칭도(왜도, Skewness): 분포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정도를 나타냄

첨도(Kurtosis): 분포 모양이 얼마나 뾰족한 가 평평한 가를 나타내는 정도

 

 


  • 히스토그램

 

 

*정의

길이, 무게, 시간, 경도 등을 측정하는 계량치 데이터가
어떠한 분포를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그림

 

*용도

데이터의 전체적인 분포 및 산포상태

평균치와 표준편차의 산출

실제 데이터와 규격과의 비교

 

 

 

A, B, C의 히스토그램은 동일할 수 있으나 실제 변화의 의미는 다름.

A는 평균과 큰 차이 없이 일정하게(안정된) 변화를 나타낸다.

B는 점점 증가하거나 떨어질 수도 있기때문에 불량발생율이 점점 높아진다.

C는 최대와 최저의 값이 평균값과 차이가 크므로 불량 발생확율이 높다.

그래서 히스토그램에서는 시간적 변화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래프로 나타내야한다.

 


  • 기술통계 - Dot plot(점도표)

데이터의 중심과 산포, 모양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집단 간의 분포의 비교가 가능.

 

 

 

 

*출저 :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 이의영교수님 6시그마GB(Greenbel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