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
- 히라가나연상
- 데미안소설
- DMAIC
- 스픽앱
- 순간의꽃시집
- 고은작은시편
- 6시그마방법론
- 마음의지혜독후감
- 스픽앱후기
- 히스토그램시간적추이
- 현대종합금속기업
- 고은시집
- 히라가나외우기
- 자격증발급비용
- 독후감
- 6시그마자격증취득
- 6시그마DMAIC
- 6시그마Define
-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자격증
- 6시그마자격증후기
- 고은시
- 순간의꽃고은
- 나는왜내탓을할까
- 데미안줄거리
- 대미안
- 히스토그램통계
- 6시그마
- 나는왜내탓을할까독후감
- 히라가나공부
- Today
- Total
하니‘s Studylog
6시그마 GB (GREENBELT) 그린벨트 사상(1) 본문
- 6 시그마 3대 중심사상
고객 중심 + 인재 중심 + 프로세스 중심 = 재무적 성과 (make more money)
ex)
기간 | 납품 기간 |
23년 1월 | 22 |
23년 2월 | 30 |
23년 3월 | 18 |
23년 4월 | 12 |
23년 5월 | 36 |
23년 6월 | 20 |
평균 납기 기간 : 23일
고객이 보는 납기기한 : 최소 12일, 최대 36일
납기 기한이 25일로 기준으로 했을 때 경영자가 보는 내부 관점에서는 평균 23일로 적정선이겠지만,
고객이 보는 관점으로는 납기 기한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서로 크고 시그마 수준이 낮다.
- 신제품의 실패 원인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지 않은 것 45% 제품 문제 29 % 마케팅 실패 25% 높은 비용 19%
- VOC(고객의 소리)
VOC(B)는 "Voice of Customer (Business)"의 약어로, 비즈니스 관점에서 고객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나타냅니다. 이는 비즈니스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개선할 때 고객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ex) 쿠키가 씹히는 감각이 일정하지 않다. 어떤 건 부스러지고, 어떤건 딱딱하다. - 고객의 소리
KC(B) I는 "Key Customer (Business) Issue"의 약어로, 비즈니스에서 핵심 고객의 문제점이나 고민을 나타냅니다. 이는 비즈니스가 핵심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만족시키기 위해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ex) 일정하게 씹히는 맛을 느끼고 싶다. - 고객이 겪고 있는 문제점
CC(B) R은 "Critical to Customer (Business) Requirements"의 약어로, 비즈니스에서 핵심 고객의 요구사항을 나타냅니다. 이는 비즈니스가 핵심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요건을 의미합니다.
ex) 쿠키는 31 이상의 악력에 견뎌야 하고,
입속에서 칩을 깨무는 힘이 33 이하여야 한다. - 정령화 된 고객의 요구 스펙
CTQ는 "Critical to Quality"의 약어로, 품질 관점에서 핵심적인 요구사항을 나타냅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핵심적인 품질 요구를 의미하며,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정 기능, 성능, 품질 등을 나타냅니다.
ex) 파괴강도 31~33 g/㎠로 일정하게 맞춘다. - 회사에서 지켜야 할 스펙
VOC → KCI → CCR
- QF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는 "Quality Function Deployment"의 약어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 기능을 개발하고 배치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QFD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 요건으로 변환하고, 이를 제품 개발 및 프로세스 개선에 반영하는 데 사용됩니다.
고객 요구사항 도출: 고객과의 대화, 설문조사, 인터뷰, 시장조사 등을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을 수집합니다. 이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기대하는 특정 기능, 성능, 디자인, 가격, 서비스 등을 포함합니다.
요구사항 우선순위 결정: 수집된 고객 요구사항을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합니다. 이를 통해 핵심적인 요구사항을 식별하고, 제품의 주요 기능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요구사항을 기능으로 변환: 고객 요구사항을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 기능으로 변환합니다. 이는 고객이 원하는 특정 기능이나 성능을 제품의 품질 요건으로 명확하게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관련 기능 간 상호관계 매핑: 제품 또는 서비스의 다양한 품질 기능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매핑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기능이 다른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품질 요건 간의 상충관계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품질 요건의 우선순위 결정: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품질 요건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이는 고객의 우선순위에 따라 제품 개발 및 프로세스 개선에 필요한 자원과 노력을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QFD(VOC → 요구품질 → CCR)
*출저 :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 이의영교수님 6시그마GB(Greenbelt)
'Six-Sigma GB'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시그마 GB (GREENBELT) 방법론 - DMAIC 요약 (1) (0) | 2024.01.05 |
---|---|
6시그마 GB (GREENBELT) 그린벨트 사상(2) (0) | 2024.01.04 |
6시그마 GB (GREENBELT) 그린벨트 방법론의 의미 (1) | 2024.01.03 |
6시그마 GB (GREENBELT) 그린벨트 통계적 의미 (1) | 2024.01.03 |
6시그마 GB (GREENBELT) 그린벨트 역사 (1) | 2024.01.02 |